입종 갈문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입종 갈문왕은 금성 탁부 출신으로, 지증왕의 아들이자 법흥왕의 동생으로 추정되는 인물이다. 사탁부의 우두머리였으며, 법흥왕의 딸 지소부인과 결혼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그의 생애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없으나, 울진 봉평리 신라비와 울주 천전리 각석을 통해 524년 화재 사건 판결에 참여하고, 525년 서석곡에 방문한 사실이 알려졌다. 537년에 사망했으며, 사후에는 부인 지소부인과 아들 진흥왕 등이 서석곡을 찾아 추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37년 사망 - 교황 실베리오
교황 실베리오는 6세기 로마 교황으로 동고트 왕국의 영향으로 선출되었으나 동로마 제국과의 갈등 속에 폐위되어 유배 후 사망,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어 폰차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537년 사망 - 가르트나트 1세
가르트나트 1세는 6세기 말 픽트인의 왕이었으며, 픽트 연대기에 따르면 네크탄 2세와 돔나흐 1세 사이에 1년 또는 7년 동안 통치했다. - 갈문왕 - 김용수 (신라)
김용수는 신라의 왕족으로 진지왕의 아들이자 진평왕의 사위이며 태종무열왕의 아버지이고, 645년 황룡사 9층 목탑 건축을 주관했으며, 654년 아들 춘추가 왕위에 오르자 문흥갈문왕으로 추존되었다. - 갈문왕 - 구도 갈문왕
구도 갈문왕은 신라 왕족으로 파진찬과 좌군주를 지내며 소문국 정벌과 백제와의 전투에서 활약했고 사후 갈문왕으로 추봉되었으나, 미추 이사금과의 시간 차이로 실제 부자 관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 신라의 정치인 - 최승우
최승우는 신라 말기 육두품 출신으로 당나라 유학 후 후백제 관료로 활동하며 뛰어난 문장력을 인정받아 최치원, 최언위와 함께 일대삼최로 불린 당대 최고의 문장가이다. - 신라의 정치인 - 원효
원효는 신라의 승려, 학자, 저술가로서, 화쟁사상을 바탕으로 통불교를 주창하고 불교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일체유심조의 깨달음 이후 저술 활동과 요석공주와의 혼인, 그리고 그의 사상이 한국, 중국, 일본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입종 갈문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입종 갈문왕 |
원래 이름 | 입종 갈문왕 |
휘 | 김입종(金立宗) |
다른 이름 | 사부지(徙夫智 徙夫知) |
대관식 | 갈문왕(葛文王) |
작위 | 왕자(王子) 황자(皇子) |
추가 작위 | 태자(太子) 갈문왕(葛文王) |
별칭 | 미상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신라 서라벌 탁부(新羅 徐羅伐 啄部) |
사망일 | 537년 |
사망지 | 미상 |
재위 기간 | ?~537년 |
배우자 | 지소태후(只召太后) |
자녀 | 진흥왕(眞興王) 숙흘종(肅訖宗) 만호부인(萬呼夫人) |
친인척 | 미상 |
부왕 | 지증왕(智證王) |
모후 | 연제부인 박씨(延帝夫人 朴氏) |
전임자 | 법흥왕(法興王) |
후임자 | 진지왕(眞智王) |
형제자매 | 법흥왕(法興王) 김진종(金珍宗)(?) 어사추(於思諏) 여랑왕(女郞王) |
성별 | 남성 |
전각 | 미상 |
묘호 | 미상 |
시호 | 미상 |
법명 | 미상 |
존호 | 미상 |
묘소 | 미상 |
능묘 | 미상 |
매장지 | 미상 |
거주지 | 신라(新羅) |
국적 | 신라(新羅) |
가문 | 경주(慶州) |
연호 | 미상 |
왕조 | 신라(新羅) |
종교 | 불교(佛敎) |
직업 | 미상 |
소속 | 미상 |
목록 | 신라의 갈문왕 |
2. 생애
입종 갈문왕(立宗 葛文王)의 생애와 행적에 대한 자세한 자료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 두 사료에는 진흥왕대에 그의 이름 입종과, 법흥왕의 친동생이자 진흥왕의 생부라는 내용만이 간략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울진 봉평리 신라비와 울산 울주 천전리 각석이 발견되고 판독되면서 그의 행적 일부가 알려졌다.
울진봉평리비에 의하면 524년 1월 15일, 사탁부의 사부지갈문왕은 탁부(啄部)의 모즉지매금왕 등을 비롯한 신라 정계의 주요 인사들과 함께 거벌모라(居伐牟羅) 지방에서 일어난 화재 사건에 대한 판결을 교시하였다.[2] 당시 울진에 행차한 법흥왕을 수행한 신하 13명의 이름이 울진봉평리비에 수록되었는데, 여기에도 사탁부의 사부지갈문왕의 이름이 있었다.
울주천전리각석에 의하면 525년 6월 18일, 사부지갈문왕이 어사추여랑(於史鄒女郎)과 함께 계곡에 놀러왔다가 그곳의 바위에 글을 새기고는 그 계곡을 "서석곡(書石谷)"이라 이름 붙였다.[3] 537년 사부지갈문왕은 사망하였다.[5] 사망 원인과 사망 날짜는 미상이다.
539년 7월 3일, 사부지갈문왕의 부인 지몰시혜비, 무즉지태왕의 부인 부걸지비, 사부지갈문왕의 아들 심맥부지 등이 서석곡을 찾아와 사부지갈문왕을 추모하며 글을 새겼다.[6]
그의 이름과 가족 관계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만 언급되어 전해졌으나, 1973년 울주 천전리 서석(蔚州川前里書石), 1988년 울진 봉평리 신라비가 발견되고, 2000년대 이후 비문이 판독되면서 그의 행적이 알려지게 되었다.
2. 1. 가계 및 초기 생애
생년월일은 미상이며 금성 탁부(啄部) 출신으로, 이름은 입종(立宗)인데, 이는 한자식 이름이다. 다른 이름은 사부지(徙夫智) 또는 사부지(徙夫知)이다. 할아버지는 습보 갈문왕이고, 아버지는 지증왕이고, 어머니는 연제부인 박씨(延帝夫人 朴氏)이다.[1]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입종이 법흥왕의 친동생이라는 언급은 없어, 친동생 여부는 단정짓기 어렵다. 법흥왕의 아우였으며, 법흥왕의 딸인 지소부인(只召夫人)과 결혼하여 진흥왕을 낳았다.[1]법흥왕은 소지 마립간의 사위였다. 입종은 금성 사탁부(沙啄部)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법흥왕의 딸 지소부인 김씨(只召夫人 金氏)와 혼인하였다. 지소부인은 그의 조카딸이 된다.
2. 2. 주요 행적
입종의 생애와 행적에 대한 자료는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 두 사료에는 진흥왕대에 그의 이름 입종과, 법흥왕의 친동생이자 진흥왕의 생부라는 내용만이 간략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울산 봉평리 신라비와 울산 울주 천전리 각석이 발견되고 판독되면서 그의 행적 일부가 알려졌다.울진봉평리비에 의하면 524년 1월 15일, 사탁부의 사부지갈문왕은 탁부(啄部)의 모즉지매금왕(牟即智寐錦王) 등을 비롯한 신라 정계의 주요 인사들과 함께 거벌모라(居伐牟羅) 지방에서 일어난 화재 사건에 대한 판결을 교시하였다.[2] 당시 울진에 행차한 법흥왕을 수행한 신하 13명의 이름이 울진봉평리비에 수록되었는데, 여기에도 사탁부의 사부지갈문왕의 이름이 있었다.
울주천전리각석에 의하면 525년 6월 18일, 사부지갈문왕이 어사추여랑(於史鄒女郎)과 함께 계곡에 놀러왔다가 그곳의 바위에 글을 새기고는 그 계곡을 "서석곡(書石谷)"이라 이름 붙였다.[3] 박창화의 《화랑세기》 필사본에는 숙흘종은 입종의 아들인데, 위화랑과 오도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금진이 생모로 기록되어 있다.[4] 다만 《화랑세기》 필사본은 학계에서 위서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기에 신뢰하기 어렵다. 537년, 사부지갈문왕은 사망하였다.[5] 사망 원인과 사망 날짜는 미상이다.
2. 3. 사후
539년 7월 3일, 사부지갈문왕의 부인 지몰시혜비, 무즉지태왕의 부인 부걸지비, 사부지갈문왕의 아들 심맥부지 등이 서석곡을 찾아와 사부지갈문왕을 추모하며 글을 새겼다.[6]그의 이름과 가족 관계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만 언급되어 전해졌으나, 1973년 울주 천전리 서석(蔚州川前里書石), 1988년 울진 봉평리 신라비가 발견되고, 2000년대 이후 비문이 판독되면서 그의 행적이 알려지게 되었다.
3. 가계
입종은 금성의 탁부(啄部) 출신으로, 이름은 입종(立宗)인데, 이는 한자식 이름이다. 다른 이름은 사부지(徙夫智) 또는 사부지(徙夫知)이다. 할아버지는 습보 갈문왕이고, 아버지는 지증왕이고, 어머니는 연제부인 박씨(延帝夫人 朴氏) 혹은 다른 여성이다.[1]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입종이 법흥왕의 친 동생이라는 언급은 없어, 친동생 여부는 단정짓기 어렵다.[1]
법흥왕의 아우였으며, 법흥왕의 딸인 지소부인(只召夫人)과 결혼하여 진흥왕(眞興王)을 낳았다.[1] 법흥왕은 소지 마립간의 사위였다. 그는 금성의 사탁부(沙啄部)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법흥왕의 딸 지소부인 김씨(只召夫人 金氏) 혹은 지몰시혜비 김씨(只沒尸兮妃 金氏)와 혼인하였는데, 지소부인은 그의 조카딸이 된다.
참조
[1]
서적
삼국사기 신라본기
[2]
문서
울진봉평리신라비
[3]
문서
울주천전리각석 원명
[4]
서적
화랑세기 필사본
[5]
문서
울주천전리각석 추명
[6]
문서
울주천전리각석 추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